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1225-1453

일본학보,, Vol.122 (2020)
pp.69~102

DOI : 10.15532/kaja.2020.02.122.69

Study on Lexical Change after the Revision of High-school Korean & Japanese Language Textbooks

Lee, Mi Suk

(명지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교수, 일본어학전공)

본고는 최근 개정(改定)된 한국과 일본의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이하, 교과서)와 개 정 전 교과서의 텍스트의 양, 장르 구성, 제재 분포 및 어휘의 의미 분야별 분포 (lexical distribution)를 대조하여 그 변화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양국의 교과서 개정 의도 및 교과서에 나타난 양국의 사회문화적 특징을 밝히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한국은 2018년, 문・이과통합을 지향하는 「2015개정교육과정」(2015)에 의해 고등학교 교과서가 개정되면서 교과서의 양이 크게 줄고 장르 구성에 변화가 크다. 『分類語彙表』(1964)에 의해 한국교과서의 어휘의 의미 분포를 분석한 결과, 중분류 전체어수 기준으로 직전교과서에서는 <창작・저술>, <언동(言動)> 등에서, 개정교과 서에서는 <문화・역사>, <기계>, <약제>, <자재(資材)> 등에서 유의차가 나타났다. 이는 현재의 사회변화에 빠르게 대처하려는 노력으로 볼 수 있으나 언어 및 문학 영 역의 감소와 관련해서는 우려의 측면이 있다. 한편, 일본은 2017년 교과서가 개정되었는데, 이는 이전의 교육과정을 부분 개정 하여 적용한 때문인지 교과서의 양이나 장르 구성에 변화가 없다. 한국과 같은 방법 으로 분석한 결과, 직전교과서에서는 <마음>, <기계> 등에서, 개정교과서는 <언동>, <창작・저술>, <경제> 등에서 유의차가 나타났다. 일본은 이번 개정에서 급변하는 사회적 변화 속에서도 고등학교에서 문학교육을 오히려 강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 은 변화 양상은 양국의 사회문화적 특성의 한 단면이라 보고 그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
  고등학교 국어교과서,교과서 개정,의미 분포,어휘 변화,사회문화적 특징  , high-school national language textbook,textbook revision,semantic distribution,lexical change,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Lee, Mi Suk

(명지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교수, 일본어학전공)

This study compares the recently revised high-school national language textbooks of South Korea and Japan (hereinafter, the textbooks) with their pre-post-revision textbooks in terms of text quantity, genre constitution, topic distribution and lexical distribution, in order to look at their changes. By doing so,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countries, which appeared on the countries' intention of textbook revision and the textbooks. First, in Korea, high-school textbooks were revised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2015) seeking the integration between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in 2018. In this process, textbook volume was largely reduced and genre composition was greatly changed. The lexical distribution of Korean language textbook was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Lexicon Classification Table(分類語彙表)』(1964). As a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creation・writing’ and ‘language behavior’ for the prerevision textbooks; and ‘cultural history’. ‘machinery’, ‘medicines’ and ‘materials’ for the post-revision textbooks based on the number of total mediumclassification words. These may be viewed as efforts to respond quickly to present social changes but raise some concern over reduced language and literature areas. In Japan, on the other hand, the textbooks were revised in 2017 without any change in the textbook volume or genre composition maybe because the previous educational curriculum was partially revised and applied. As a result of analyzing in the same method as that applied to Korea, the pre-revision textbook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ind’ and ‘machinery’; and the post revision textbooks, in ‘language behavior’, ‘creation・writing’ and ‘economy’. Japan was found to have rather reinforced literature program in high schools even amid the rapidly changing social situation. Such changes can be viewed as an aspect showing the two countries’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and it is necessary to watch how they will develop.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