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1225-1453

일본학보,, Vol.131 (2022)
pp.17~36

DOI : 10.15532/kaja.2022.05.131.17

『イカゲーム』の日本メディア批評 ― 嫌悪と共感の韓国ドラマ論 ―

イ・ヒャンジン

(立教大学異文化コミュニケーション学部教授、文化社会学・映画研究)

본 연구는 『오징어 게임』의 글로벌 성공에 주목하는 일본 미디어담론을 탈경계적인 관점에서 고찰한다. 『오징어 게임』은 전지구적인 불평등 문제를 개인파산과 가족의 해체라는 한국적 현실에 접합시킨 서바이벌 게임 드라마이다. 『오징어 게임』의 독창성에 대해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 경제질서라는 보편적 주제를 지역사회 이야기로 그려 장르적 혼종화와 탈경계의 미학을 보여주었다고 평가하는 입장은 시사평론가들의 드라마 한국사회론과는 다르다. 시사 평론가들이 드라마를 보며 한일 사회를 비교하고 우위를 따지며 한류드라마 일반론을 이끌어 왔다면, 영상 비평가들은 작품을 선택하고 텍스트적 의미에 공감하는 시청자들의 행위를 전제로 오디언스 지향적인 글쓰기를 시도한다고 하겠다. 2000년대 여성 드라마 시청자들에게 반민족주의 프레임을 씌워 도덕적으로 비난했던 혐한류론자들은 창작자와 관객 사이에서 생성되는 탈경계적 공감과 쌍방적 커뮤니케이션을 간과했었다. 그 결과 첫 드라마 한류에 이어 K-pop, 음식과 패션으로 대표되는 일상문화, 그리고 온라인과 스트리밍 플랫폼로 확산되는 큰 흐름을 막지 못했다. 반대로 한국드라마 팬덤을 젠더화하고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혐한론자들의 뒤에서 시청자들을 조롱하던 주류 사회를 희화한 한류 풍자 로맨틱 코미디가 새로운 장르로 등장하게 하였다. 2020년, 제4 한류의 정점을 찍은 『사랑의 불시착』은 한류 풍자 코메디 장르의 대표적작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드라마의 일본 미디어 담론이 진화해 온 20여년간 과정을 살펴보고, 탈경계적인 영상미학과 장르적 혼종화를 즐기고 공감하는 시청자들의 존재를 텍스트 속에서 드러냄으로써 글로벌 스트리밍 플랫폼 시대의 한국드라마가 코로나로 악화된 제노포비아와 소수집단에 대한 혐오를 치유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따져 본다. 그리고 『오징어 게임』을 기점으로 가시화된 일본 미디어 담론의 오디언스 지향적 비평을 분석한다.
  『오징어게임』,혐오와 공감의 사회학,스트리밍 플랫폼과 드라마 팬덤,일본 언론의 한국 드라마 언설,오디언스 지향적 비평  , Squid Game,Japanese media discourse of Korean drama,sociology of hatred and empathy,streaming platforms and drama fandom,audience-oriented criticism

The Squid Game and Media Criticism in Japan

Lee, Hyangjin

(立教大学異文化コミュニケーション学部教授、文化社会学・映画研究)

This study examined the Japanese media discourse on Squid Game. The Squid Game caricatures the powered who seeks to maintain capitalist class order and enjoy the violence of prejudice, discrimination and hate toward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It portrays poetic justice as moral basis of a death game in which participants resist the power for survival with a sense of familial solidarity and empathy. The discussion was mainly centered on the criticism of the generic hybridization of the drama between the universality of global inequality problems and issues of regionality, as well the typical themes of Korean social dramas. These themes include extreme class gaps and family disintegration in the form of social survival game genre, informed by audience-oriented criticism. To note, the Japanese media’s criticism of Korean dramas in the age of streaming platforms has changed significantly and they cannot be compared to those of the 2000s’. In the 2000s, the first drama Hallyu was often referred to as a social phenomenon leading to anti-Korean sentiments prevailing in the Korean drama media’s criticism. Such criticism was unable to stop the spread of the subsequent Korean waves in later years, such as K-pop, food, fashion, and everyday culture in the 2010s. There was a general tendency to victimize the middle-aged Korean drama fans from a male chauvinistic point of view. It also witnessed the birth of the hallyu satirical romantic comedy genre which parodied the mainstream media mocking the Korean drama fandom of female viewers. In 2020, the popularity of Crash Landing on You, a representative work of the hallyu satirical romantic comedy genre, led to the peak of the fourth hallyu wave in Japan. The present study argues that the new trend in the Japanese media’s criticism of Korean drama highlights transboundary empathy for the social underprivileged from a perspective of audience-oriented criticism. It was also posited that such trend can help heal the expansion of xenophobia and hatred which has been exacerbated by COVID 19. Furthermore, it can raise issues informed by the new and more critical perspectives in current media commentaries, opposing the nationalistic populism which tend to treat drama as a mere reflection of backwardness and marginality of other culture.

イ・ヒャンジン

(立教大学異文化コミュニケーション学部教授、文化社会学・映画研究)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