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1225-1453

일본학보,, Vol.139 (2024)
pp.23~34

DOI : 10.15532/kaja.2024.05.139.23

#MeTooの輝きのあとにメディア文化とフェミニズムの不幸な関係を問い直す

田中東子

(東京大学大学院 情報学環教育部 文化・人間情報学コース 教授、メディア文化論・ジェンダー研究)

본 논문은 2023년에서 2024년에 일본 사회에서 일어난 성폭력 고발이 일본 미디어 문화와 페미니즘과의 복잡한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성폭력은 전 세계적인 문제이며, 이를 근절하기 위해 국제적인 페미니즘 운동과 여성차별철폐협약 등 역사적인 노력이 진행되어 왔다. 제2 물결의 페미니즘 운동은 1969년 이후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확산되어 여성의 권리와 성차별 철폐를 위한 전 세계적인 노력을 추진해 왔다. 그러나 21세기에 들어서도 성폭력은 근절되지 않았고, 2017년 ‘미투(#MeToo)’ 운동은 성폭력 및 성희롱에 대한 전 세계적인 항의를 불러일으 켰으며, 일본에서도 영향을 미쳤다. 일본의 ‘#MeToo’ 운동은 다른 나라에 비해 뒤늦게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본고에서는 그 이후의 전개에 주목하여 현재도 진행형일 가능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일본에서 ‘#MeToo’ 운동이 즉각적으로 확산되지 못한 배경 에는 페미니즘 사상과 운동이 공적인 공간에서 억압되어 온 것을 들 수 있는데, 1990년 대 후반부터 2010년대에 걸쳐 ‘페미니즘’이라는 단어와 개념이 금기시되면서 공적인 자 리에서 논의가 어려워졌다. 또한 일본의 주류 미디어 문화는 남성 중심적이어서 페미니 즘 활동은 주로 사적인 공간이나 대중문화 속에서 이루어졌고, 2010년대 후반에는 한국 의 페미니즘 문화의 영향이 일본에도 영향을 미쳐 일본 SNS에서 페미니즘에 대한 논의 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동시에 포퓰러–미소지니 담론도 눈에 띄어 양면적인 상황이 부각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론에서는 일본의 ‘#MeToo’ 운동의 현주소를 보여 주기 위해 세 가지 성폭력 고발 사례를 다루고, 일본 미디어 문화에 부족한 요소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페미니즘,성폭력,미디어 문화,동아시아  , #MeToo,hate speech,shauvinism,Anti–Korean Sentiment,Zaitokukai,Koreans in Japan

After the #MeToo Glowing Rethinking the Unfortunate Relationship Between Media Culture and Feminism

Tanaka, Tohko

(東京大学大学院 情報学環教育部 文化・人間情報学コース 教授、メディア文化論・ジェンダー研究)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the dynamics of sexual violence disclosure in Japanese society in 2023 –2024, and its complex interplay with Japanese media culture and feminism. Sexual violence remains a global issue, despite historical efforts such as international feminist movements and the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The second wave of feminism, which emerged mainly in the West since 1969, has championed women's rights and the elimination of gender discrimination worldwide. However, sexual violence has persisted into the 21st century, as evidenced by the 2017 #MeToo movement, which originated in Hollywood and sparked global protests against sexual violence and harassment, including in Japan. Despite a perceived lag in the spread of the #MeToo movement in Japan compared to other nations, this paper argues that ongoing developments suggest a more gradual progression. The reluctance of Japan's #MeToo movement to expand rapidly can be attributed to the suppression of feminist ideologies and activism in the public sphere since the spread of second–wave feminism in the 1980s. The stigmatisation of feminist concepts and language from the late 1990s to the 2010s hindered public discourse on feminism. In addition, Japan's mainstream media culture, which is predominantly patriarchal, confined feminist activism to private spaces and popular culture, perpetuating gender–discriminatory content. In the late 2010s, under the influence of South Korean feminist culture, Japan witnessed a surge in feminist discussions on social media platforms, despite the prevalence of misogynistic rhetoric. Finally, by examining three cases of disclosures of sexual violence, this paper highlights the ongoing nature of the #MeToo movement in Japan and offers recommendations for addressing shortcomings in Japanese media culture.

田中東子

(東京大学大学院 情報学環教育部 文化・人間情報学コース 教授、メディア文化論・ジェンダー研究)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