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1225-1453

일본학보,, Vol.129 (2021)
pp.97~114

DOI : 10.15532/kaja.2021.11.129.97

캡스톤디자인(일본문화)의 수업 실천

김현주

(한밭대학교 일본어과 부교수)

본 연구는 일본 관련 전공 분야에서 그 선례를 찾기 힘든 캡스톤디자인(일본문 화) 수업을 실천한 사례를 보고하고 교육과정에서 검토해야 할 기본사항 및 학습자 데이터에 기반한 분석결과를 고찰한 것으로 일본어교육의 실천연구로 그 위치를 제 시할 수 있다. 교육의 질 제고 및 정보 제공을 목표로 다음 세 가지 의문점을 해명하였다. 1) ‘캡스톤디자인(일본문화)’이란 무엇인가? 2) 실질적인 수업 전개과정은 어떠한가? 3) 본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주관적인 소감은 어떠한가? 먼저 일본어와 일본문화를 매개로 한 캡스톤디자인의 가능성과 학습목표, 학습대 상, 수업내용, 수업설계, 교과서 선정, 수업운영 및 학습평가의 순으로 기본적인 사 항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실질적인 수업 실천사례를 보고하고 수업에 참가한 학습 자의 주관적 소감을 데이터마이닝 분석도구인 KH Corder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고찰 하였다. 수강 학생 대부분이 캡스톤디자인(일본문화)이 실무지식 향상에 도움이 된 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성과는 향후 외국어교육의 질 제고 및 교육과정 운영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데이터의 확충 및 수업에서 탐구할 문제 발굴, 수 업 모듈 구축,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등을 향후 과제로 제시할 수 있다.
  인문사회,캡스톤디자인,일본문화,수업실천,일본어교육,학습자중심 수업  ,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Capstone Design,Japanese Culture,classroom praxis,Japanese language education,learner-centered classroom sessions

A Report on the Implementation of “Capstone Design (Japanese Culture)” Course

Kim, Hyonju

(한밭대학교 일본어과 부교수)

The current study reports a case of conducting the “Capstone Design (Japanese Culture)” course, whose precedent is difficult to find in different fields of majors related to Japan. The paper examines the basic items that must be reviewed in the curriculum, and the results of analysis based on the learners’ data. As such, its position can be presented as a study of the praxis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With the goals of raising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providing information, the three following questions were answered: 1) What is “Capstone Design (Japanese Culture)”? 2) What is the actual process of class development? 3) What are the learners’ thoughts on this course? First, the basic items were summarized in the order of the possibilities of Capstone Design with Japanese and Japanese culture as media, learning goals, objects of learning, contents of classroom sessions, class design, textbook selection, class management, and learning evaluation. Next, the actual cases of classroom praxis were reported, and the subjective thoughts of the learners participating in classroom sessions were analyzed and examined by using KH Coder, a data mining analysis tool. The frui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materials for raising the quality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managing the curricula in the future. The expansion of data, discovery of issues to be explored in class, construction of class modules,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rubrics can be presented as future tasks.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