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1225-1453

일본학보,, Vol.123 (2020)
pp.17~44

DOI : 10.15532/kaja.2020.05.123.17

재일여성문학을 읽는 몇 가지 키워드 ― 이산과 식민체험, 가부장제, 마이너리티 ―

윤송아

(동덕여자대학교 한중미래연구소 학술연구교수)

본고는 해방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주요 재일여성문학자들의 등장과 면 모를 일별함으로써 재일여성문학의 사적 흐름을 개괄하고, ‘이산과 식민체험’, ‘가부 장제’, ‘마이너리티’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재일여성문학의 특징과 경향을 살펴보았 다.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의 재일여성문학은 여성들의 ‘문맹퇴치’, 문해(文解) 교육으로부터 시작하여 이금옥, 윤영자, 안후키코, 유묘달 등의 재일 2세 시인, 작가 들 및 오사카 재일조선인 시지(詩誌) 진달래의 여성시인, 문필가들을 중심으로 전 개되었으며,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재일여성문학은 종추월, 이정자, 이양지, 김창 생, 유미리 등을 위시한 유수한 재일여성문학자들의 활발한 창작활동과 여러 재일여 성문예지 발간 등을 발판으로 다채로운 확장과 변용을 이루어나갔다. 이러한 재일여 성문학의 흐름은 첫째, 해방 이후에도 지속되어 온 식민주의 국가폭력과 이산・분단 의 재생산 구도 속에서 고통 받는 재일조선인 여성 및 가족의 재현, 둘째, 가부장적 가족제도에 균열을 내는 여성의 자립과 연대의 가능성 제시, 셋째, 민족・인종・계급 차별 및 혐오에 맞서는 여성 마이너리티의 전략이라는 주제의식을 통해 그 특징을 변별해볼 수 있다. 현재까지 재일여성문학은 ‘재일’, ‘여성’, ‘마이너리티’라는 복합적 존재성을 바탕으로, 개별적 해방 추구의 단계를 뛰어넘어 역사적 고난과 유린당한 타자에 주목하고 전쟁과 문명의 이기에 저항하며 혐오와 차별의 구조를 타개하는 투쟁의 현장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있다. 따라서 재일여성문학을 천착하는 일은 동 아시아의 해방과 평화의 서사를 완성해나가는 이 시대의 윤리적 책무와 맞닿아 있 다고 할 수 있다.
  재일여성문학,이산,식민체험,가부장제,마이너리티  , Zainichi women's literature,Separation,colonial experiences,patriarchy,minority

Several Keywords that Read Zainichi Women's Literature : Separation and Colonial Experiences, Patriarchy, Minority

Yoon, Song Ah

(동덕여자대학교 한중미래연구소 학술연구교수)

The current work aims to study the appearance and aspects of authors of major Zainichi women's literature during the period from liberation till now. The features and trends of the Zainichi women's literature was also examined focusing on the keywords of separation and colonial experiences, patriarchy, and minority. The Zainichi women's literature from liberation to 1960s started with the crusade against illiteracy, education for women, and was developed by second generation poets, such as Lee Geum Ok, Yoon Young Ja, Ahn Hukiko and Yoo Myo dal, authors, and female poets of Jindalrae, a Zainichi poetry journal from Osaka. The Zainichi women’s literature observed further expansion and variation based on active creative activities of famous authors of Zainichi women's literature such as Jong Chu Wol, Lee Jeong Ja, Lee Yang Ji, Kim Chang Saeng and Yoo Mi Ri, and publication of several female literature journals in Japan. This flow of Zainichi women's literature continued after liberation to express women and families who suffered amid colonial national violence and were the victims of separation and division. The Zainichi women’s literature also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with the independence of women who broke the patriarchal family system, Furthermore, the Zainichi women’s literature also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ategy of the female minority against ethnic, racial, class discrimination and hatred.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