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1225-1453

일본학보,, Vol.135 (2023)
pp.69~82

DOI : 10.15532/kaja.2023.05.135.69

二字漢語の第三形容詞を前項とする複合名詞形成について

中澤有紀

(福岡女子大学大学院、言語文化専攻・日本言語文化)

본 연구에서는 이자한어(二字漢語)의 제3형용사를 전항(N1), 단순명사를 후항(N2)으로 하는 복합명사(N1N2)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그 조건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3형 용사는 보통명사로 분류되는 것 중 격 체계가 없고 형용사적인 기능을 가진 단어, 예를 들어 ‘人気’ ‘最強’ 등의 단어를 말하는데, 이를 N1으로 하는 복합명사가 어떤 조건에서 형성되는지를 ①구문적 조건 ②의미적 조건 ③기능적 조건의 세 가지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먼저 구문적으로는 ‘人気の商品’과 ‘人気の秘訣’라는 동일한 N1을 가진 명사구를 비교 했다. 전자는 ‘商品は人気だ’라는 명사문이 성립하고, 또한 ‘人気商品’이라는 복합명사화 가 가능하다. 반면 후자는 ‘*秘訣は人気だ’라는 명사문이 비문이 되고, 또한 복합명사화 한 ‘*人気秘訣’은 허용도가 낮다. 이를 통해 ‘N2はN1だ’가 성립하는 것, 즉 N1이 N2의 속성을 규정하는 관계라는 것이 조건이 된다는 것을 밝혔다. 그러나 구문적 조건을 충족 해도 복합명사화가 불가능한 예가 있어 의미적 조건에 대해서도 같이 고찰하였다. 여기서도 동일한 N1을 가진 명사구 ‘最高の記録’와 ‘最高の気分’을 비교하여, 복합명 사화 여부를 가르는 요인이 N1이 객관적인 사실을 나타내는가, 주관적인 판단・감정을 나타내느냐는 차이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앞서 언급한 두 가지 조건을 충족하고도 형성된 N1N2가 허용되기 어려운 예로 ‘*独身部長’를 들며 ‘独身男性’와의 기능적인 차 이, 즉 형성된 단어가 존재해야 할 필요성의 차이를 사회적 단계의 관점에서 고찰했다.
  복합명사,제3형용사,이자한어(二字漢語),어형성  , compound noun,type III adjective,Two-character Chinese,word formation

On Compound Noun Formation with a Third Adjective in Secondary Chinese as the Prefix

Nakazawa, Yuki

(福岡女子大学大学院、言語文化専攻・日本言語文化)

This study attempts to clarify the conditions under which compound nouns (N1N2) are formed, with the third adjective of a two-character Chinese word(二字漢語) as the first term (N1) and a simple noun as the second term (N2). Third adjectives are those classified as ordinary nouns that do not have a case system and have adjectival functions, such as “人気” and “最強” We examine the conditions under which compound nouns with N1 can be formed from three perspectives: (1) syntactic conditions, (2) semantic conditions, and (3) functional conditions. First, syntactically, comparing noun phrases with the same N1, “人気の商品” and “人気の秘訣” and finding that the former can be formed into compound nouns while the latter cannot, we found that the condition is “that N1 specifies an attribute of N2 (“N2 is N1” is valid). However, there were instances in which compound nominalization was not possible even though the syntactic condition was satisfied, and further consideration was given to the semantic condition. Again, comparing the noun phrases “最高の記録” and “最高の気分,” which have the same N1, we pointed out that the difference in whether the N1 expresses an objective fact or a subjective judgment or feeling is the factor that determines whether the compound nominalization is possible or not. Furthermore, as an example of an N1N2 that is not easily acceptable even when the two conditions mentioned above are met, we cited “*独身部長” and discussed its functional difference from “独身男性”. Although we are relatively free to create compound nouns, not all of them are socially recognized, and to be generally recognized as “correct words,” they must be recognized as necessary to represent a certain concept.

中澤有紀

(福岡女子大学大学院、言語文化専攻・日本言語文化)

Download PDF list